본문 바로가기

생활이야기들/해외생활, 해외뉴스

일본 올림픽 앞두고 군함도 역사 왜곡에 망신 - 유네스코 '징용 사실 알려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위원회

군함도 왜곡에 강한 유감 표현

일본 반론 펼치려다 입장 보류



유람선에서 바라본 군함도의 모습

유네스코가 도쿄올림픽 개막을 하루 앞두고 일본 정부를 향해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군함도(하시마)에서의 징용 피해 사실을 제대로 알리지 않고 있다며,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올림픽을 앞두고 일본 자민당 정권의 역사 퇴행 인식이 국제사회에서 집중 부각되고 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위원회는 22일(현지시간) 온라인으로 진행한 제44차 회의에서 일본 정부에 도쿄 신주쿠 산업정보유산센터 내 군함도에 대한 설명을 개선하라는 내용의 결정문을 컨센서스(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이날 채택한 결정문은 지난 12일 세계유산센터 홈페이지에 공개한 결정문안과 동일하다. 수정없이 이번에 그대로 반영됐다.

결정문은 일본이 관련 결정을 아직 충실히 이행하지 않은데 강하게 유감을 표명하고, 공동조사단 보고서의 결론을 충분히 참고해 관련 결정을 이행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번 결정문 채택에 앞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위원회는 지난달 7~9일 일본에 조사단을 파견했다. 조사단은 도쿄 신주쿠 산업유산정보센터를 시찰 후 보고서를 작성했다. 본인 의사에 반해 가혹한 조건 속에서 한국인 등이 강제 노역한 사실과 일본 정부의 징용 정책을 알 수 있도록 조치를 요구하는 내용이 보고서에 담겼다. 아울러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권고도 들어갔다.



도쿄 신주쿠 소재 산업유산정보센터 내 군함도 관련 영상들

일본 정부는 2015년 군함도 등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 노역 현장이 다수 포함된 일련의 근대 산업시설을 세계 유산으로 등재하는 과정에서 한국 등의 반대를 극복하기 위해 징용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알리겠다고 국제사회에 약속했다. 하지만 그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역사적 사실을 알리기 위해 설치된 현재 산업유산정보센터에서는 되레 역사 왜곡이 자행되고 있다. 조선인에 대한 차별이나 인권침해가 없었다는 내용이 전시되고 있는 것이다.

이번 결의문에 따라 일본 정부는 2022년 12월 1일까지 이행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2023년 제46차 회의 때 결의문 지적사항을 제대로 이행했는지를 검토하게 된다. 앞서 지난 12일 원문 공개 당시, 일본 정부는 "약속한 조치를 성실하게 이행했다"며 억지 주장을 펼쳐, 향후 일본 측의 행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교도통신은 당초 일본 정부가 원문 공개 후 세계문화유산위원회에 반론 차원에서 의견을 밝히려 했으나, 의견 표명을 하지 않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결정문 채택이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국제사회의 역사 인식과 일본의 역사 인식이 어긋난다는 인상을 주는 주장을 펴는 것이 '득책'(유리한 계책)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하루빨리 세계문화유산에서 취소되기를..

일본의 야비함은 세월이 지나도 한결같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