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이야기들/코로나19

코로나 백신 분석 - 특징, 효과, 부작용, 차이점

오늘은 코로나 백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아스트라 제네카

아스트라 제네카사와 영국 옥스포드 대학이 제조한 AZ백신

아스트라 제네카 특징

정식 명칭: 한국아스트라제네카
코비든-19
백신주(사스 코로나바이러스-2 바이러스 벡터 백신)
업체명: 한국아스트라제네카(주)
위탁제조업체: SK 바이오사이언스
허가일: 2021-02-10
- 식품의약품안전처 AZ 제품 정보

아스트라 제네카 효과

18세 이상에서 SARS-CoV-2
바이러스에 의한 코로나19의 예방
① 해외 조사 결과: 3상 감염예방효과 76% 스코틀랜드에선 최대 94%
② 국내 조사 결과: 1차 접종 2주 뒤
감염예방효과 92.2%
60세 이상은 86%
- 식품의약안전처 AZ 제품 정보

아스트라 제네카 부작용

다음의 경우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뇌 정맥동 혈전증, 내장 정맥 혈전증 등 흔히 나타나지 않는 부위의 혈전증과 헤파린 유발 혈소판감소증 또는
항인지 질 증후군의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 이 백신의 투여는 잠재적 이익이 잠재적 위험을 능가할 때만
고려되어야 한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AZ 제품 정보

① 유럽에서 100만 건당 3.5~6.5건 혈전 발생
AZ 백신의 부작용으로 '혈전'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발견된 혈전증은 '뇌 정맥동 혈전증’과 '내장 정맥 혈전증'이며 희귀하게 발생하는 혈전입니다.
일반적인 혈전이 동맥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과 달리 '정맥'에 발생하며, 뇌출혈이나 췌장염 등 합병증을 동반합니다.
​ 4월 19일 기준 유럽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100만 건 당 3.5~6.5건
희귀 혈전증 발생이 보고됐다고 합니다.

​ ② 약물이상반응(림프절 비대, 식욕감소, 두통, 구토 등 흔치 않게 발생)
'림프절 병증'은 흔하지 않게 발생했고
'식욕 감소' 등 영양 장애 역시 흔하지 않게 나타났습니다.
속이 울렁거리는 '오심'과 ’두통', '근육통''관절통','발열과 오한', '구토 및 설사'는 매우 흔하게 '어지러움 및 졸림’과
땀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다한증', 가려움을 유발하는 '소양증', 염증 등이 발생하는 '발진'은 흔하지 않게 나타났습니다.

2.화이자

화이자-바이오 인테크 백신

화이자 특징

정식 명칭: 코미나 티주(토지나 메라는, 코드명: BNT162b2)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 mRNA 백신)
업체명: 한국화이자제약 (주)
허가일: 2021-03-05
- 식품의약품안전처 코미나 티주(토지나 메라는) 제품 정보


화이자 효과

16세 이상에서 SARS-CoV-2 바이러스에 의한 코로나19의 예방
① 해외 조사 결과: 감염예방효과 91.3% 남아공 변이에도 효과적
② 국내 조사 결과: 1차 접종 2주 후 감염예방효과 100%
60세 이상 1차 접종 자는 89.7%
- 식품의약품안전처 코미나 티주(토지나 메라는) 제품 정보

화이자 부작용

① 약물이상반응(림프절 비대, 설사, 피로, 근육통 등 흔치 않게 발생)
② 알레르기성 질환이 있는 경우, 아나필락시스(과민 반응) 주의
<일반적 주의>
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한 중증 과민반응을 경험한 과거 이력이 있는 경우 백신 투여 후 면밀한 모니터링이 요구됩니다.


3.모더나

모더나사에서 개발한 COVID-19 백신

모더나 특징

식품의약품안전처는 5월 21일 최종 점검위원회를 열고 녹십자가 2021년 4월 12일(월)에 ‘모더나 코비 지-19백신 주’에 대해 수입품목허가를 결정했습니다.

‘모더나 코비 지-19백신 주’는 미국 모드 나사가 개발한 mRNA 백신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 항원 유전자를
mRNA 형태로 주입해 체내에서 항원 단백질을 합성하고,
이 단백질이 중화항체의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입했을 때 바이러스를 중화해 제거하게 됩니다.

​ 18세 이상이 접종 대상으로 허가됐고 ‘모더나 코비 지-19백신 주’는 국내에서 네 번째, mRNA 백신으로는 화이자에 이어 국내에서 두 번째로 허가받은 백신입니다.
유럽, 미국 등 39개 국가와 WHO에서 조건부 허가 또는 긴급 사용승인을 받았습니다.

모더나 효과

미국에서 실시한 임상시험 결과, 코로나19로 확진 받은 사람이 백신군 11명(1만 4134명 중), 대조군 185명(1만 4073명 중)이 각각 발생해 약 94.1%의 감염예방효과를 나타냈습니다.

​ 2020년 12월 모더나가 발표한 감염 예방효과는 94.1%였고 중증 예방효과는 100%였습니다.

화이자의 감염예방효과 95%와 비슷한 수치입니다.

모더나 부작용

흔하게 나타난 이상 사례는 주사부위 통증, 피로, 두통, 근육통, 관절통, 오한, 메스꺼움/구토, 림프절 병증, 발열,
주사부위 부종, 홍조 등이었는데 이 증상은 대부분 경증에서 중간 정도 수준으로 백신 접종 후 며칠 내에 사라졌습니다.

모더나 도입, 접종, 생산

① 국내 접종 일정
정부는 모드 나사와 2000만 명(4000만 회) 분량의 백신 도입 계약을 맺었습니다.
6월 1일 5만 5000회 분량의 모더나 백신이 인천공항에 도착했고 이 백신은 예정대로 국가 출하 승인 절차를 거쳐 6월 중순에 공급되고, 30세 미만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종사자의 접종에 활용될 계획이라고 합니다.

​ ② 삼성바이오로직스 병입 생산 계약, 직접 생산도 추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해외에서 생산된 모더나 백신 원액을 국내에서 완제 충전해 생산하게 되고 모더나를 포함한 mRNA 방식 백신의 직접 생산까지 추진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5월 31일 “mRNA 백신 원료 의약품 생산 설비를 인천 송도 기존 설비에 추가해 내년 상반기 안으로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에 대한 준비를 완료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4.얀센

얀센 특징

①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1년 4월 7일 코로나19 백신 ‘코비스-19백신 얀센제’에 대해 임상시험 최종 결과 보고서 등을 제출하는 조건으로 수입품목허가를 결정하였습니다.

​ ②'코비드-19백신 얀센제’는 미국 '얀센'사가 개발한 바이러스 벡터 백신입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표면항원 유전자를 재조합해 사람 아데노바이러스에 넣어 체내에 주입하여 항원 단백질을 합성하고, 이 단백질이중화항체의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입했을 때 바이러스를 중화해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 ③얀센 백신은 1회만 접종하는 방식입니다.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2차 접종을 해야 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얀센 효과

66% 예방 효과
최종 점검위는 "임상시험 결과, 코로나19로 확진 받은 사람이 14일 이후 백신군 116명, 대조군 348명이 각각 발생하여 66.9%의 예방효과를 나타났고, 28일 이후에는 백신군 66명, 대조군 193명으로 66.1%의 예방 효과를 보였다"라고 밝혔습니다.

얀센 부작용

①아스트라제네카와 비슷한 부작용
일반적으로 매우 흔하게 나타난 이상 사례는 주사부위 통증, 두통, 피로, 근육통 등이었으며, 증상은 대부분 경증에서 중간 정도 수준으로 백신 접종 후 2~3일 이내에 회복됐다고 합니다.

​ ②해외 부작용 사례
15명 중 13명이 50세 미만이었습니다. 대부분 드문 뇌혈전증을 보였으며, 3명이 숨졌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허가된 백신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어서 코로나가 종식되기를 바랍니다.